본문 바로가기
복지 및 혜택

내 숨은 돈, 미수령 환급금 조회 및 찾는 방법! (세금, 의료비, 통신비)

by lillllililiiililli 2023. 11. 1.

미수령 환급금을 받아, 몇 백만원 이상 받아가시는 분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미수령 환급금은 자동으로 알아서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청을 해야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엔 이런 세금, 의료비, 통신비와 같은 미수령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수령 환급금 조회 및 찾기!

환급금이라는 것은 자신이 내야할 돈(세금 등)보다 실제로 많이 냈기 때문에 당연히 돌려받아야 하는 돈을 의미합니다. 보통 이 환급금은 신청을 해야지만, 돌려주는 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청을 하지 않으셔서 돌려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번엔 숨은 내 환급금을 찾는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세 환급금 (홈택스)

수많은 미수령 환급금 중에서도 가장 액수가 큰 환급금이 바로 국세입니다.

시민들로부터 가장 많이 걷어가는 것이 국세입니다. 이렇게 큰 국세의 미수령 환급금은 지난 5년치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하루빨리 미수령한 국세가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어떻게 미수령 세금 환급금을 찾을 수 있을까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집 근처 인근 관할세무서를 직접 방문하시는 방법이 있지만,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5초만에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홈텍스 사이트로 이동하는데, 사이트에 방문하셨다면 아래의 순서를 따라하시면 환급금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상단의 '납부,고지,환급' 메뉴 클릭 -> '국세 환급금 찾기' -> 로그인 후 국세 환급금 조회 완료!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2. 지방세 환급금(위택스)

국세뿐만아니라 지방세 역시 환급금 조회 후 찾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구미시에서 3억원의 환급금이 쌓여 있다고 하는 기사도 올라올 정도로, 주인없는 지방세도 국세와 마찬가지로 어마어마합니다. 

지방세는 보통 위택스에서 납부하는데, 포털 사이트에 지방세 환급금을 검색하시면, 위택스 환급금 조회 코너가 나옵니다. 여기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시면 지방세 환급금을 조회하고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세 환급금 조회하기!

3. 의료비 환급금 (건강보험공단)

세 번째 환급금은 의료비 환급금입니다.
본인의 소득기준에 비해 너무 많은 본인 부담금(병원비)를 낸 분들은 초과 납입금액을 고스란히 돌려줍니다. 신청 및 조회 방법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고, 고객센터 1577-1000으로 전화하시면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에 대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의료비 환급금 조회하기!

4. 국민연금 환급금 (국민연금)

그리고 대다수의 국민들이 내고 있는 국민연금에도 환급금이 있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또한 과납입한 금액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서 환급금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1577-1000입니다.

전화하셔서 문의하셔도 되고, 만약 홈페이지를 활용하신다면  개인 민원 메뉴 버튼 클릭 후 -> 과오납금 조회 누르시면 확인 가능하십니다.

국민연금 환급금 조회하기!

5. 통신비 환급금

마지막으로 소개할 환급금은 바로 통신비입니다. 

전국민이 통신사를 변경하거나 해지할 때 약정 금액에 대한 환수조치가 제대로 되지 않아, 요금을 이중 납부하거나 과납입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약 1,500억원이나 환급금으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통신비 환급금 조회방법은 스마트 초이스라는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초이스 사이트에 접속 후 주민등록번호통신 회사만 선택하시면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통신비 환급금 조회하기!

마무리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선 미수령 환급금을 조회하는 5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귀찮긴 하지만 알려드린 5가지 환급금을 싹 한 번씩 조회해보시면 예상치 못한 큰 돈을 발견하실 수도 있습니다. 미수령 환급금이 몇 백만원이나 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니, 한번 조회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